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핫이슈37

[채상병 순직 2주기] 익명 제보가 증언한 ‘그날’과 특검 수사의 현재 이슈 한눈에 보기사건 : 2023년 7월 19일 경북 예천 홍수 실종자 수색 중 해병대 일병(입대 4개월)이 급류에 휩쓸려 순직. 사후 1계급 진급으로 ‘채상병 사건’으로 불림.2년 경과 : 2025년 7월 19일, 특별검사 수사 중 “VIP 격노” 외압 정황 수집.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구속영장 청구. 핵심 의혹 : ① 무리한 수색 투입 지시 ② 구명 장비 미지급 ③ 사후 지휘 · 수사 외압.익명 제보 : 당시 같은 조로 투입된 해병이 유튜브 ‘채상병 제보자 특집’(2025-07-17)에서 현장 상황을 구술.서론 — 왜 다시 ‘채상병’을 말하는가젊은 해병이 입대한 지 네 달 만에 목숨을 잃은 지 2년이 흘렀다. 사건은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이 글은 유튜브 채널 간다효의 영상 ‘채상병 제보자 특집’[7.. 2025. 7. 19.
[총정리]‘중국인 토지 매입’ — 한·미 부동산 규제 비교와 논란 실체 핵심 요약미국 : 2025년 7월 8일, USDA가 ‘농장 안보 계획’ 발표. 중국 등 ‘우려 국가’의 농지 신규 매입 사실상 차단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한국 : 외국인 보유 토지 267.9㎢, 국토의 0.27%. 이 중 미국 55.6%·중국 7.9%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주택 : 외국인 보유 10만216호(전체 0.52%). 중국 국적이 56%, 그러나 전체 주택은 2,262만 호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음모론과 달리 토지·주택 모두 “중국인이 절반 이상”은 과장. 실제 보유 비중은 한 자리수에 그침문제는 투명성 부족·주취득 지역 편중. 데이터 기반 제도 보완이 관건 도입.. 2025. 7. 17.
가자지구 사망자 58,000명 돌파 — 아동 17,000명 희생, 인도주의 붕괴의 경고음 이슈 한눈에 보기사망자 : 57,680명(7월 9일 UNRWA), 58,000명 상회(7월 13일 Al Jazeera) 아동 사망 : 최소 17,000명(UNICEF·Guardian) 연료 고갈 : UN 7기구 공동 경고 “생활·보건 시스템 총체적 마비 직전” 식량 위기 : WHO·WFP “인구 210만 중 48만 명 IPC 5단계(기근) 직면” 주요 논점 : 봉쇄·공습 지속, 원조 차단, 국제법 위반 여부, 즉각 휴전 촉구도입가자지구가 “지상 최대 인도주의 재앙”이라는 표현을 넘어섰다. 7월 13일 기준 누적 사망자는 58,000명을 넘었고, 열 명 중 세 명이 18세 미만이다. UNRWA·WHO·UNICEF는 “매시간 굶주림·탈수·폭격으로 아동이 목숨을 잃는다”며 즉각 휴전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스라.. 2025. 7. 16.
트럼프, 우크라이나에 패트리엇 미사일 제공 발표 — 미·러 갈등 새 국면 이슈 한눈에 보기발표 시점 : 2025년 7월 14일 백악관 공동 기자회견[1]공급 규모 : 패트리엇 포대 2기·PAC-3 CRI 미사일 800발(추정)[4]재원 : “EU · NATO 100% 부담” 방안, 미국은 재고·기술 지원[1][4]보복 경고 : 트럼프 “50일 내 휴전 없으면 러시아산 원유 100% 관세”[1][3]러시아 반응 : 메드베데프 “연극적 최후통첩” 규정, 보복 시나리오 경고[5] 도입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월 14일 패트리엇(Patriot)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우크라이나로 이전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이는 취임 초기 “외교적 해결”을 내세웠던 트럼프 외교의 급격한 선회이자, “동맹이 비용을 부담하고 미국은 기술을 제공”한다는 그의 국방 분담 원칙을 재확인한 조치다.[1]트.. 2025. 7. 15.
17개월 만에 복귀한 의대생, 한국 의료 개혁의 분수령! 이슈 한눈에 보기전원 복귀 시점 : 2025년 7월 12일 공동 성명 발표, 7월 말까지 단계적 등교 추진[1]휴학 기간 : 2024년 2월 20일 집단 수업 거부 시작 후 17개월[2]휴학·유급 대상 : 전국 40개 의대 약 8,300명 유급 확정 직전[3]쟁점 : 의대 정원 연 2,000명 확대 vs 교육·수련 질 악화 논란핵심 이해관계자 : 의대협·의협·교육부·보건복지부·국회 교문·복지위도입1년 5개월 동안 이어진 의대생·전공의 동맹 휴학이 전환점을 맞았다.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7월 12일 “정부와 신뢰 회복을 바탕으로 전원 복귀한다”고 발표했다.[1]이번 결정은 응급실 폐쇄·수술 지연 등 의료 공백을 겪어 온 현장에 숨통을 틔울 계기로 평가된다. 동시에 “정원 확대를 둘러싼.. 2025. 7. 14.
[총정리]더현대 서울 돈키호테 팝업스토어 후기 기본 정보‘GS25 × 돈키호테’ 팝업스토어는 2025년 7월 8일부터 8월 1일까지 여의도 더현대 서울 지하 1층에서 운영됩니다. 첫날 1,200명 방문, 30분 만에 웨이팅 마감되는 등 폭발적 관심을 모았습니다.방문자 후기: 일본 감성 체험SNS에는 “마치 일본 돈키호테 매장 같다”는 평이 많았으며, 특히 간장계란밥 소스 등 인증샷이 활발히 공유됨.“일본 여행 안 가도 현지 가격대 체험!”이라는 기대감 속에서, 6000~6600원대 가격 상품이 현지 가격과 비슷해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다는 의견도 있음. 비판적 의견: 운영·상품 모두 ‘기대 이하’첫날 웨이팅 시스템 혼선으로 “지하 2층 대기, 1층 안내 미비” 등의 지적이 있었으며, “직원마다 안내가 달라 고성과 욕설까지 발생했다”는 현장 상황도 있.. 2025. 7. 13.
728x90
반응형
LIST